천년의 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년의 문은 1999년 대한민국 새천년준비위원회가 기획하고 문화관광부가 주도한 국가 상징물 프로젝트로, 2000년 국제 설계 공모를 통해 이은석 교수와 오퍼스 건축사사무소의 공동 제안작이 당선되었다. 거대한 고리 형태의 건축물로 서울의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2001년 예산 증가, 안전 문제 등을 이유로 사업이 중단되었다. 이후 설계비 미지급 및 소송, 서울건축문화제 재조명, 온라인 밈 현상, 서울링 표절 시비 등 여러 논란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천년의 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천년의 문 |
원어 이름 | }} |
다른 이름 | 서울 링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487-3 |
용도 | 대관람차 전망대 공연장 전시장 |
취소일 | 2001년 3월 28일 |
건축 정보 | |
건축가 | 이은석 |
건축 사무소 | 오퍼스 건축사사무소 (우대성, 김광우, 이계순, 조성기, 김형종) |
구조 엔지니어 | 에이럽 그룹 |
시공사 | 알 수 없음 |
개발사 | 알 수 없음 |
소유주 | 알 수 없음 |
관리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seoulring.com |
층수 | 지하 1층, 지상 45층 |
엘리베이터 수 | 4 |
건축 면적 | 7,686m2 |
총 면적 | 9,646m2 |
2. 천년의 문 설계 국제공모전
이어령 새천년준비위원회 위원장이 기획하고, 웅진재단 이사장인 신현웅 문화관광부 차관이 주도한 천년의 문 설계 국제공모전은 김대중 정부 시절의 국가 상징물 프로젝트였다.[67]
당선된 설계안은 열린 문(Gate)을 상징하는 원형 고리(Ring) 형태로, 지름 200m의 세계 최초 관람차, 전망대, 공연장, 전시장이 하나로 융합된 건축물이었다.[68] 이 건축물은 2002년 한일 월드컵대회가 개최되는 상암동 난지도의 '평화의 공원' 내 약 10만 평(약 330000m2)의 부지에 완성되어, 서울월드컵경기장과 함께 세계적인 관광지로 활용될 계획이었다.
2. 1. 공모전 진행 과정
이어령 신천년준비위원회 위원장이 기획하고, 신현웅 문화관광부 차관 겸 웅진재단 이사장이 주도한 천년의 문 국제 설계 공모전이 열렸다.[1] 이는 김대중 정부 시대의 국가적 상징 사업이었다. 1999년 10월, 백남준을 비롯한 저명한 건축가 및 예술가 등 총 181개 팀이 등록했으며, 최종적으로 36개의 설계안이 제출되었다. 2000년 2월, 디자인, 구조, 조경, 도시 계획, 디자인 분야의 한국 최고 권위자 9인(장석웅(위원장), 강석원, 고주석, 김진균, 오휘영, 유완, 이우진, 지순, 한도룡)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은 경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이은석과 오퍼스 건축사사무소(우대성, 김광우, 이계순, 조성기, 김형종)의 공동 제안을 만장일치로 선정했다.[1] 이 작품은 서울의 랜드마크로서의 잠재력과 우수성을 인정받았다.[1] 심사위원장 장석웅은 '선정된 작품은 천년의 문의 상징성, 역사성, 정체성을 잘 나타낸다'고 언급했다.[2]2. 2. 심사위원단
심사위원단은 디자인, 구조, 조경, 도시 계획, 디자인 분야의 한국 최고 권위자 9인으로 구성되었다.[1] 심사위원장 장석웅은 선정된 작품이 천년의 문의 상징성, 역사성, 정체성을 잘 나타낸다고 언급했다.[2]이름 | 전문 분야 |
---|---|
장석웅 (위원장) | 해당 자료에 없음 |
강석원 | 해당 자료에 없음 |
고주석 | 해당 자료에 없음 |
김진균 | 해당 자료에 없음 |
오휘영 | 해당 자료에 없음 |
유완 | 해당 자료에 없음 |
이우진 | 해당 자료에 없음 |
지순 | 해당 자료에 없음 |
한도룡 | 해당 자료에 없음 |
심사위원단은 경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이은석과 오퍼스 건축사사무소(우대성, 김광우, 이계순, 조성기, 김형종)의 공동 제안을 만장일치로 선정했다.[1]
2. 3. 당선작 선정
이어령 새천년준비위원회 위원장이 기획하고, 신현웅 문화관광부 차관이 주도한 천년의 문 설계 국제공모전은 김대중 정부 시절의 국가 상징물 프로젝트였다.[67] 1999년 10월, 여러 유명 건축가들과 백남준 등 예술가들에게서 36개의 설계안이 접수되었다. 2000년 2월, 강석원, 고주석, 김진균, 오휘영, 유완, 이우진, 장석웅, 지순, 한도룡을 포함한 한국 건축계 대표 심사위원 9인이 경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이은석과 오퍼스 건축사사무소(우대성, 김광우, 이계순, 조성기, 김형종)의 공동 제안작을 만장일치로 선택했다. 이 작품은 서울의 랜드마크로서의 가능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았다.[67] 장석웅 심사위원장은 "(당선작은) 천년의 문으로서의 상징성, 역사성, 정체성을 잘 드러냈다"고 밝혔다.[68]당선된 천년의 문 설계안은 열린 문(Gate)을 상징하는 원형 고리(Ring) 형태였으며, 지름 200m의 세계 최초 관람차(Ferris Wheel), 전망대(Observation Deck), 공연장(Concert Hall), 전시장(Gallery)이 하나로 융합된 건축물이었다.[68] 이 건축물은 2002년 한일 월드컵대회가 개최되는 상암동 난지도의 '평화의 공원' 내 약 10만 평 부지에 완성되어, 서울월드컵경기장과 함께 세계적인 관광지로 활용될 계획이었다.
3. 당선작: 천년의 문
김대중 정부 시절, 이어령 새천년준비위원회 위원장이 기획하고 신현웅 문화관광부 차관이 주도한 국가 상징물 프로젝트로 천년의 문 설계 국제공모전이 열렸다.[67] 1999년 10월, 백남준 등 여러 유명 건축가들과 예술가들에게서 36개의 설계안이 접수되었다.[67] 2000년 2월, 강석원, 고주석, 김진균, 오휘영, 유완, 이우진, 장석웅, 지순, 한도룡 등 한국 건축계 대표 심사위원 9인은 경희대 건축학과 교수 이은석과 오퍼스 건축사사무소의 공동 제안작을 만장일치로 선택했다.[67] 이 작품은 서울의 랜드마크로서 가능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장석웅 심사위원장은 "(당선작은) 천년의 문으로서의 상징성, 역사성, 정체성을 잘 드러냈다"고 밝혔다.[68]
3. 1. 디자인 및 구조
천년의 문 당선작은 열린 문을 상징하는 원형 링 형태였다. 이 안에는 지름 200m의 세계 최초의 대관람차와 전망대, 콘서트홀, 갤러리 등이 하나의 건축물로 통합될 예정이었다.[4][1] 이 건물은 2002년 한일 FIFA 월드컵에 맞춰 상암동 난지도 '평화의 공원' 부지 약 330000m2에 완공될 예정이었으며, 월드컵 주경기장과 함께 세계적인 관광 명소로 활용될 계획이었다.[1][4]거대하고 얇은 링 구조는 세계적으로 유일했지만, 복잡성으로 인해 건설 난이도가 높았다. 신현웅 차관은 선정된 설계업체에 세계적인 구조 설계 및 풍동 실험 전문 회사와 협력할 것을 요구했고, 관계 부처 회의에서 천년의 문 건설 예산을 3000억원에서 5500억원으로 증액하기로 결정했다.[1] 설계는 캐나다의 RWDI에서 실시한 풍동 실험에서 세 번 실패했지만,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의 구조 문제를 해결한 영국의 에이럽 그룹과 협력하여 해결책을 찾았다. 10개월의 노력 끝에 100년에 한 번 발생하는 지진, 바람, 홍수를 견딜 수 있는 구조 설계가 완성되었다.[1]
3. 2. 기능 및 시설
천년의 문 당선작은 열린 문을 상징하는 원형 링 형태였다. 이 안에는 지름 200m의 세계 최초 대관람차와 전망대, 콘서트홀, 갤러리 등이 하나의 건축물로 통합될 예정이었다.[4][1] 이 건물은 2002년 한일 FIFA 월드컵에 맞춰 상암동 난지도 '평화의 공원' 부지 약 330000m2에 완공될 예정이었다. 월드컵 주경기장과 함께 세계적인 관광 명소로 활용될 계획이었다.[1][4]3. 3. 규모 및 상징성
당선된 천년의 문 설계안은 열린 문(Gate)을 상징하는 원형 고리(Ring) 형태였다. 지름 200m의 세계 최초 대관람차, 전망대, 공연장, 전시장이 하나로 융합된 건축물이었다.[68] 이 건축물은 2002년 한일 월드컵대회가 개최되는 상암동 난지도의 '평화의 공원' 내 약 10만 평(약 330000m2)의 부지에 완성되어, 서울월드컵경기장과 함께 세계적인 관광지로 활용될 계획이었다.4. 천년의 문 사업 참여자
이어령 신천년준비위원회 위원장이 기획하고, 신현웅 문화관광부 차관 겸 웅진재단 이사장이 주도한 천년의 문 국제 설계 공모전이 김대중 정부 시대의 국가적 상징 사업으로 열렸다.[1] 1999년 10월, 백남준을 비롯한 저명한 건축가 및 예술가 등 총 181개 팀이 등록했으며, 최종적으로 36개의 설계안이 제출되었다.[1]
공동 당선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4. 1. 공동 당선자
경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이은석과 오퍼스 건축사사무소(우대성, 김광우, 이계순, 조성기, 김형종)가 공동으로 제안한 설계안이 심사위원단의 만장일치로 선정되었다.[1] 심사위원단은 디자인, 구조, 조경, 도시 계획, 디자인 분야의 한국 최고 권위자 9인(장석웅(위원장), 강석원, 고주석, 김진균, 오휘영, 유완, 이우진, 지순, 한도룡)으로 구성되었다.[1] 이 작품은 서울의 랜드마크로서의 잠재력과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심사위원장 장석웅은 '선정된 작품은 천년의 문의 상징성, 역사성, 정체성을 잘 나타낸다'고 언급했다.[2]공동 당선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4. 1. 1. 이은석
홍익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국립 파리 벨빌 건축대학에서 학위를 받은 프랑스 공인 건축사(Architecte DPLG)이다. 국립 파리 제1대학 소르본 대학교에서 예술사학 박사학위를 획득했다. 현재 경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이며, [http://www.adik.or.kr/ 한국건축설계학회] 회장, 세종시 총괄 건축심의위원, 대한민국건축사(KIRA) 자격시험 심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69] 앙리 시리아니의 제자였다.[4]1995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재미한인문화원 국제 설계 공모전(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KOMA)에서 리처드 마이어, 마이클 그레이브스, 김종성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가운데 68개국 475개 팀 중 한국인 최초로 1등을 차지하여 국내외 건축계에 이름을 알렸다.
[https://komalee.com/ 코마건축] 대표 건축가이며, 한국건축가협회 작품상, [http://www.adik.or.kr/ 한국건축설계학회] 대상, 교회건축 대상,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기도 건축상, [https://architectureprize.com/ Architecture Master Prize], [https://awards.architizer.com/ Architizer A+ Award] 등 국내외에서 다수의 건축상을 받았다.[69]
4. 1. 2. 오퍼스 건축사사무소
오퍼스 건축사사무소 소속 우대성, 김광우, 이계순, 조성기, 김형종이 천년의 문 설계 공모에 함께 당선되었다.[70]조성기는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창조건축에서 '서울대학교 경영연구관', '서울예술대학 안산캠퍼스', 'LG상록원 프로젝트' 등을 설계했다. 대한민국 건축대전 초대작가이며, 교회 건축과 주상복합 등 복합 기능을 갖춘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70]
우대성은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해군 시설장교로 복무했다. 한국건축가협회와 99건축문화의해 조직위원회에서 활동했다. '도시기념비적 건축의 특성연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근대건축 보존 단체인 도코모모코리아에서 활동했다.[70]
김형종은 동국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건축연구소 탑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다. 홍익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한 후에는 장건축과 창조건축에서 '강촌스키리조트', '연세대학교 상남경영관', '전주리베라 호텔' 등을 설계했다.[70]
4. 2. 2등 당선자
임채진 교수 + 이상환경건축사사무소4. 3. 3등 당선자
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와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가 3등 당선자이다.5. 언론 보도 및 평가
이어령 새천년준비위원회 위원장이 기획하고, 웅진재단 이사장인 신현웅 문화관광부 차관이 주도한 천년의 문 설계 국제공모전은 김대중 정부 시절의 국가 상징물 프로젝트였다. 1999년 10월, 여러 유명 건축가들과 백남준 등 예술가들에게서 36개의 설계안이 접수되었다. 2000년 2월, 강석원, 고주석, 김진균, 오휘영, 유완, 이우진, 장석웅, 지순, 한도룡 등 한국 건축계 대표 심사위원 9인이 경희대 건축학과 교수 이은석과 오퍼스 건축사사무소(우대성, 김광우, 이계순, 조성기, 김형종)의 공동 제안작을 만장일치로 선택했으며, 서울의 랜드마크로서 가능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았다.[67] 장석웅 심사위원장은 "(당선작은) 천년의 문으로서의 상징성, 역사성, 정체성을 잘 드러냈다"고 밝혔다.[68]
당선된 설계안은 열린 문(Gate)을 상징하는 원형 고리(Ring)로, 지름 200m의 세계 최초 관람차(Ferris Wheel), 전망대(Observation Deck), 공연장(Concert Hall), 전시장(Gallery)이 하나로 융합된 건축물이었다.[68]
5. 1. 국내 언론
2000년 2월 16일, KBS 뉴스는 상암동 평화의 공원에 세워질 천년의 문 설계 국제공모전 당선작을 보도했다.[71]2000년 12월 4일, MBC 뉴스는 상암동 올림픽 주경기장 인근 한강변에 건립 예정인 '천년의 문'(서울의 고리)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MBC 뉴스는 이 건물이 철골로 지어지며, 직경 200m의 360도 원형 구조로 세계에서 유일한 형태를 자랑한다고 보도했다. 이 원형 구조는 생성과 비움, 순환과 완결, 그리고 통일을 열망하는 우리 국민의 바람을 상징한다고 전했다. 유리로 마감될 예정인 '서울의 고리' 내부에는 4대의 곤돌라와 2000개의 계단이 설치될 계획이고, 정상에서 바라보는 서울의 풍경, 서해의 아름다운 일몰, 그리고 맑은 날에는 개성까지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선재 기자는 "김포나 인천 신공항에서 들어오는 외국인들은 지금 제 뒤로 보이는 방화대교의 우아한 아치와 함께 보이게 될 서울의 고리로써 한국을 신비스럽게 첫 대면하고 돌아가는 길에 다시 한번 동그라미의 이미지로써 서울을 기억하게 될 것입니다"라고 천년의 문을 소개하였다.[72]
2000년 12월 5일, KBS 뉴스는 천년의 문 모형이 공개됐다며 2000년 3월 착공될 천년의 문은 총 12,000평(약 39660m2)의 부지에 위치하며, 직경 200m, 두께 18m의 원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공간에는 전망대뿐만 아니라 현대사 박물관, 사이버 역사관 등 다양한 시설이 함께 들어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73]
KBS와 MBC등의 국내 주요 언론들은 천년의 문을 서울을 대표할 랜드마크로, 파리의 에펠탑과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에 비견하여 소개하였다.[75]
5. 2. 해외 언론
천년의 문은 국제 건축계의 주목을 받아 세계적인 건축 저널의 찬사를 받았다.[74] 2000년 10월에는 프랑스의 [https://www.darchitectures.com/ d'A] 잡지와 2001년에 일본의 [https://au-magazine.com/ a+u Magazine]에서 천년의 문에 대해 다루었다.[75] 특히, 이 건축물은 슈퍼스케일(Super Scale) 개념을 도입한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반만년의 대한민국 역사를 대표하는 기념물로서의 위엄을 지니고, 2002년 FIFA 월드컵이라는 국제 스포츠 행사와 함께 건설되면서, 전 세계 20억 이상의 시청자와 방문객에게 평화의 공원 중심 시설로서 세계 주요 도시의 건축물을 능가하는 규모와 의미를 지니게 된다는 점을 평가받았다. 또한, 메가폴리스인 서울에서 중요한 명소가 되어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주변의 한강, 서울월드컵경기장, 난지도, 성산대교, 수많은 아파트 단지 등과 같은 대규모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규모의 건축물로 평가되었다.[4]6. 사업 중단 및 논란
이어령 새천년준비위원회 위원장이 기획하고, 웅진재단 이사장인 신현웅 문화관광부 차관이 주도한 천년의 문 설계 국제공모전은 김대중 정부 시절의 국가 상징물 프로젝트였다. 1999년 10월, 여러 유명 건축가들과 백남준 등 예술가들에게서 36개의 설계안이 접수되었다. 2000년 2월, 강석원, 고주석, 김진균, 오휘영, 유완, 이우진, 장석웅, 지순, 한도룡 등 한국 건축계 대표 심사위원 9인이 경희대 건축학과 교수 이은석과 오퍼스 건축사사무소(우대성, 김광우, 이계순, 조성기, 김형종)의 공동 제안작을 만장일치로 선택했다.[67] 장석웅 심사위원장은 "(당선작은) 천년의 문으로서의 상징성, 역사성, 정체성을 잘 드러냈다"고 밝혔다.[68]
당선된 설계안은 열린 문(Gate)을 상징하는 원형 고리(Ring) 형태로, 지름 200m의 세계 최초 관람차(Ferris Wheel), 전망대(Observation Deck), 공연장(Concert Hall), 전시장(Gallery)이 하나로 융합된 건축물이었다.[68] 이 건축물은 2002년 한일 월드컵대회가 개최되는 상암동 난지도의 '평화의 공원' 내 약 10만 평 부지에 완성되어, 서울월드컵경기장과 함께 세계적인 관광지로 활용될 계획이었다.
이후 사업은 예산 증가, 민간 자금 확보 불확실성, 안전 문제 및 설계 변경 등의 이유로 중단되었고, 설계비 미지급 및 소송 문제로 이어졌다.
6. 1. 사업 중단
김대중 정부의 국가 상징물 프로젝트였던 천년의 문 사업은 김한길 신임 문화관광부 장관에 의해 2001년 3월 28일 중단되었다.[76] 김 장관은 사업 중단 이유로 예산 증가(300억 원에서 550억 원)와 민간 자금 확보의 불확실성, 풍동 실험 결과에 따른 안전 문제 및 설계 변경 등을 제시했다.[76]그러나 이은석 교수는 이러한 문제들이 이미 해결되었으며, 사업 중단 발표 5일 후에야 공식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77] 그는 "권위 있는 심사위원들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국가적인 프로젝트를 갑작스럽게 중단시킨 것은 전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77]
당시 정부는 완료된 설계비(9억 원)를 지급하지 않고, 프로젝트 주도 재단을 해체하고 교부금(48억 원)을 강제 회수했다.[67] 대법원은 재단에 용역비와 이자 지급을 판결했지만, 재단은 배상 능력이 없다고 주장했고, 문화체육관광부는 소멸 시효(5년) 만료를 이유로 지급을 거부했다.[67][78][79][80] 오퍼스 건축사사무소 대표 우대성은 소송을 통해 9년 만에 설계 보상비를 받았다.[67][78][79][80]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정권 교체(김대중 정부 → 국민의 정부)와 관련된 정치적 배경에서 비롯된 사업 중단의 부당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6. 2. 설계비 미지급 및 소송
김대중 정부 시절 국가 상징물 프로젝트였던 천년의 문은 사업 중단 이후 설계비 미지급 문제가 발생했다. 당시 정부는 프로젝트를 갑작스럽게 취소하면서 국내외 5개 회사에 지급해야 할 실시설계비용(80% 진행) 9억 원을 지급하지 않았다.[67] 또한 프로젝트를 주도했던 재단을 해체하고 교부금 48억 원도 강제로 회수했다.2007년 대법원은 '천년의 문 재단'이 설계자에게 8억 8000만 원의 용역비와 10억 원 이상의 이자를 배상해야 한다고 판결했다.[78][79][80] 그러나 배상 주체인 재단은 문화체육관광부의 국고보조금 잔액 회수로 인해 배상 능력이 없다고 주장했고, 문화체육관광부는 재판 당사자 간 해결 문제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후 문화체육관광부는 배상 책임은 인정하나 국가재정법상 소멸시효(5년)가 완성되어 지급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건축사사무소 오퍼스의 우대성 대표는 문화관광부 장관을 상대로 실시설계비 지급 소송을 제기하여 계속 추진했다. 결국 프로젝트 중단 9년 후인 2010년 11월, 대법원의 승소 판결로 설계보상비를 받았다.[67]
7. 천년의 문 재조명
김대중 정부 시절, 이어령 새천년준비위원회 위원장이 기획하고 웅진재단 이사장인 신현웅 전 문화관광부 차관이 주도한 '천년의 문' 프로젝트는 국가적 상징물 건립 사업이었다.[67] 1999년 10월, 백남준 등 유명 예술가들과 건축가들로부터 36개의 설계안이 접수되었고, 2000년 2월 강석원, 고주석, 김진균, 오휘영, 유완, 이우진, 장석웅, 지순, 한도룡 등 한국 건축계를 대표하는 심사위원 9인은 경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이은석과 오퍼스 건축사사무소의 공동 제안을 만장일치로 선정했다.[67] 장석웅 심사위원장은 "(당선작은) 천년의 문으로서의 상징성, 역사성, 정체성을 잘 드러냈다"고 밝혔다.[68]
당선된 설계안은 열린 문(Gate)을 상징하는 지름 200m의 원형 고리(Ring) 형태로, 세계 최초의 관람차, 전망대, 공연장, 전시장이 융합된 복합 건축물이었다.[68] 이 건축물은 2002년 한일 월드컵대회가 개최되는 상암동 난지도의 '평화의 공원' 내 약 10만 평 부지에 건설되어, 서울월드컵경기장과 함께 세계적인 관광지로 활용될 계획이었다.
최근 '천년의 문'은 온라인에서 다시금 화제가 되기도 하고, 서울시의 '서울링'과 표절 시비에 휘말리기도 하였다.
7. 1. 서울건축문화제 2019
이은석 교수는 2019년 9월 6일부터 22일까지 문화비축기지에서 열린 서울건축문화제 '열린 공간' 주제전에 초청된 다섯 명의 건축가 중 한 명이었다.[81] 이 전시에서 이은석 교수는 [https://www.c3korea.net/haneul-boseok-church-by-eunseok-lee/ 하늘보석교회], [https://www.c3korea.net/sonyangwon-memorial-museum-by-atelier-koma/ 애국지사 손양원기념관], 그리고 천년의 문(서울링)을 소개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하늘을 표현하는 다양한 개념에서 종종 원형을 사용하는데, 이 원형을 수직으로 세우고 중앙에 공간을 비워두어 다양하고 무한히 변화하는 공간을 제안하였다"고 설명하며, 천년의 문 프로젝트가 열린 사고, 열린 가치, 열린 공간에 대한 이야기였다고 덧붙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IZtrXjqy8jI 서울건축문화제 2019 이은석 건축가 인터뷰 영상])7. 2. 온라인 밈 현상
2021년, '[https://www.instagram.com/p/CVeoXG0hrsS/ 서울에 만드려다가 취소된 랜드마크]'와 '[https://www.instagram.com/p/CXSpTHYFUIz/ 한국에 지으려다 포기한 건축물]' 등의 제목으로 여러 천년의 문 이미지를 담은 게시물들이 인스타그램 등 소셜 미디어에서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7. 3. 서울링 표절 시비
2023년 3월 8일, 서울시는 '서울링 제로 계획'을 발표하며 2025년 착공을 목표로 상암동 하늘공원에 '서울링 제로'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82] 그러나 새건축사협의회는 '서울링'과 이어령의 천년의 문이 개념, 형태, 이름, 설치 위치까지 유사하다며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83]이에 서울시는 해명자료를 통해 '서울링'이 '천년의 문' 디자인을 표절한 것이 아니며, 원형이라는 점 외에는 곤돌라 수, 회전 방식, 기능 등에서 차이가 있다고 반박했다.[84] 또한 '서울링' 아이디어는 오세훈 시장이 제안한 것이라고 강조했다.[85]
천년의 문 설계 공모 공동 당선자인 이은석 교수는 2022년 서울시에 '서울링 구현을 위한 5가지 디자인 과제'를 제출하며, 서울링이 성공하려면 일반적인 관람차가 아니어야 한다는 견해를 전달했다고 밝혔다.[86] 그는 디자인 저작권 문제만 해결되면 서울링의 성공을 위해 노하우를 공유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명했다.[86]
새건축사협의회에 이어 대한건축사협회도 비판 성명을 발표하고,[87] C3KOREA 등 건축 정보 포털에서도 서울링 표절 논란을 다루는 등 건축계의 비판이 확산되었다.[88] 젊은 건축가, 건축학과 교수, 건축계 원로들까지 비판에 가세했다.[89]
2023년 5월 11일, 오세훈 시장은 제27차 전국여성건축사대회에서 서울링 표절 문제에 대해 평범한 관람차를 만들고 싶지 않아 자신이 아이디어를 냈으며, 천년의 문 설계팀에게 조언을 얻어 기본 개념만 설정했다고 해명했다.[96] 또한 천년의 문 설계자에게 합류를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고 주장했다.[96]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오세훈 시장은 김대중 정부의 '천년의 문' 사업을 무산시킨 장본인으로,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디자인을 도용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참조
[1]
뉴스
"[세상사는 이야기] '천년의 문' 비가(悲歌)"
https://www.mk.co.kr[...]
2021-12-18
[2]
뉴스
평화와 행복, 통일의 길로... "열려라 천년의 문"
2000-02-17
[3]
웹사이트
Atelier KOMA
https://komalee.com/
[4]
웹사이트
Seoulring.com
https://www.seoulrin[...]
[5]
뉴스
상암동 평화의공원 세워질 천년의 문 당선작 발표
https://news.kbs.co.[...]
2000-02-16
[6]
뉴스
천년의 문. 서울의 고리 컴퓨터로 시연[이선재]
https://imnews.imbc.[...]
2000-12-04
[7]
뉴스
월드컵 조형물 '천년의 문'
https://news.kbs.co.[...]
2000-12-05
[8]
뉴스
오세훈 아이디어 담았다는 서울링...때아닌 표절 논란, 왜 [핫이슈]
https://www.mk.co.kr[...]
2023-03-19
[9]
뉴스
'천년의 문'건립사업 백지화
https://m.khan.co.kr[...]
2001-03-28
[10]
뉴스
'천년의 문' 건립취소로 '허탈'
https://www.chosun.c[...]
2001-04-05
[11]
뉴스
'서울링' 이전에 '천년의문' 있었다
https://www.seoul.co[...]
2023-03-16
[12]
뉴스
"[기고] '서울링'은 원작자 명예를 존중해야"
https://n.news.naver[...]
2023-04-03
[13]
뉴스
(기자설명회)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에 '서울링 제로' 조성...'25년 착공 목표
2023-03-08
[14]
뉴스
"[보도자료]서울시의 '서울링' 건립 계획에 대한 우려"
2023-03-08
[15]
뉴스
"[해명자료] 서울시 추진 '서울링' 표절 논란 ...\"20여년 전 기획·무산된 '천년의 문'과 유사\""
2023-03-16
[16]
뉴스
발표 일주일 만에... 표절 시비 휘말린 '서울링'
https://www.chosun.c[...]
2023-04-03
[17]
뉴스
FOCUS 건축사의 건축저작권_'서울링' 표절 논란..."건축저작권자 권리 침해 낡은 관행 바뀌어야"
https://www.ancnews.[...]
2023-03-23
[18]
뉴스
"[에디토리얼] 디지털은 물리적 공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https://vmspace.com/[...]
2023-12-01
[19]
뉴스
"'서울링'에서 '그레이트 한강'까지, 서울이 들썩인다(From 'Seoul Ring' to 'Great Han River,' Seoul is buzzing)"
https://www.c3korea.[...]
2023-03-21
[20]
뉴스
독보적 랜드마크? '서울링' 비용과 안전을 우려한다
https://www.hani.co.[...]
2023-03-22
[21]
뉴스
하늘공원 건립예정 '서울링' 표절 논란 [뉴스in뉴스]
https://www.youtube.[...]
2023-03-22
[22]
뉴스
모든 창작품이 그렇듯 건축물 역시 저작권은 건축가에게 있다. 하지만 서울링 관련 서울시의 부주의한 일처리는 우리 사회에 건축 저작권 개념이 전무함을 보여준다.
https://www.instagra[...]
2023-03-30
[23]
뉴스
65) 이른바 Seoul Ring은 '천년의 문'의 표절이 아닌가?
https://www.youtube.[...]
2023-04-04
[24]
뉴스
철학자의 도시, 아니면
https://www.joongang[...]
2023-04-26
[25]
뉴스
공공기관, 서울시가 대놓고 표절 중인 서울링 대관람차! 천년의 문 몰랐던 게 아니라며? 뭐가 문제인지 건축가들이 직접 이야기해봤습니다! [아키리즘 블랙]
https://www.youtube.[...]
2023-04-04
[26]
뉴스
서울링, 노들섬 개발... 한강 정체성과 생태 회복이 중심돼야[건축이 만드는 공간/홍재승]
https://www.donga.co[...]
2023-04-04
[27]
뉴스
오세훈, 서울링 표절 논란 직접 해명..."천년의문 설계 자문"
https://www.donga.co[...]
2023-05-12
[28]
뉴스
며칠 전 오세훈 시장은 전국여성건축사대회에 참석해서 "당시 설계하신 분이 표절 의구심을 갖게 돼 조인(합류)을 하라고 해도 기분이 틀어지셔서 안 하겠다고 하신 상태"라고 말했다는 보도를 접했다.
https://www.instagra[...]
2023-05-15
[29]
뉴스
상암 평화의공원에 서울 랜드마크 대관람차 본격화…제안접수
https://n.news.naver[...]
2023-12-03
[30]
뉴스
서울링 설계, 유엔스튜디오·에이럽·희림건축 등 세계적 설계회사 참여
https://www.mk.co.kr[...]
2023-12-04
[31]
뉴스
서울 상암동에 대관람차 '서울링' 만든다. (A Giant Ferris Wheel 'Seoul Ring' to be Built in Sangam-dong, Seoul.)
https://www.ytn.co.k[...]
2023-03-03
[32]
뉴스
상암 평화의공원에 서울 랜드마크 대관람차 본격화…제안접수 (Full-scale Development of Seoul Landmark Giant Ferris Wheel in Sangam Peace Park… Proposal Submission Underway)
https://n.news.naver[...]
2023-12-03
[33]
웹사이트
seoulring.com
https://www.seoulrin[...]
[34]
뉴스
한강에 대관람차 '서울아이' 세운다…"세계 최대 사이즈" (A Giant Ferris Wheel 'Seoul Eye' to be Built over the Han River... "The Largest Size in the World")
https://www.donga.co[...]
2021-12-18
[35]
뉴스
한강에 세계 최대 규모 대관람차 '서울아이' 세운다 (The World's Largest Ferris Wheel 'Seoul Eye' to be Built on the Han River)
https://n.news.naver[...]
2022-08-09
[36]
뉴스
"(기자설명회)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에 '서울링 제로' 조성…'25년 착공 목표 ((Press Briefi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o Develop 'Seoul Ring Zero' in Sky Park, Sangam-dong, Mapo District… Aiming for Construction Start in 2025)"
https://www.seoul.go[...]
2023-03-08
[37]
뉴스
"[보도자료]서울시의 '서울링' 건립 계획에 대한 우려([Press Release] Concerns Regarding Seoul City's 'Seoul Ring' Construction Plan)"
https://kai2002.org/[...]
2023-03-14
[38]
뉴스
"[해명자료] 서울시 추진 '서울링' 표절 논란 …\"20여년 전 기획·무산된 '천년의 문'과 유사\" ([Clarification Document] Seoul City's Promoted 'Seoul Ring' Plagiarism Controversy ... 'Similar to 'Millennium Gate,' Planned and Aborted Over 20 Years Ago')"
https://mediahub.seo[...]
2023-03-16
[39]
뉴스
"발표 일주일 만에… 표절 시비 휘말린 '서울링'(Just One Week After the Announcement... 'Seoul Ring' Entangled in Plagiarism Dispute)"
https://www.chosun.c[...]
2023-03-17
[40]
뉴스
"오세훈 아이디어 담았다는 서울링...때아닌 표절 논란, 왜 [핫이슈](Seoul Ring Embodying Oh Se-hoon's Idea... An Untimely Plagiarism Controversy, Why [Hot Issue])"
https://www.mk.co.kr[...]
2023-03-19
[41]
뉴스
"표절 시비 붙은 '서울링'…23년 전 '천년의 문'과 뭐가 다를까?('Seoul Ring' Caught in Plagiarism Dispute... How is it Different from 'Millennium Gate' 23 Years Ago?)"
https://news.kbs.co.[...]
2023-03-17
[42]
뉴스
"오세훈 야심작 서울링 벌써 첩첩산중, 표절·주민 반발에 건설사도 난색(Mayor Oh Se-hoon's Ambitious Project Seoul Ring Already Facing Multiple Challenges: Plagiarism, Local Opposition, and Construction Companies' Reluctance)"
https://www.business[...]
2023-03-16
[43]
뉴스
"'런던아이' 타고 서울링 확신한 오세훈…"이 형태는 세계 1위""
https://www.joongang[...]
2023-03-16
[44]
뉴스
오세훈, 서울링 표절 논란 직접 해명…"천년의문 설계 자문"
https://www.donga.co[...]
2023-05-12
[45]
뉴스
며칠 전 오세훈 시장은 전국여성건축사대회에 참석해서 "당시 설계하신 분이 표절 의구심을 갖게 돼 조인(합류)을 하라고 해도 기분이 틀어지셔서 안 하겠다고 하신 상태"라고 말했다는 보도를 접했다.
https://www.instagra[...]
2023-05-15
[46]
뉴스
"
[47]
뉴스
"독보적 랜드마크? '서울링' 비용과 안전을 우려한다(Unique landmark? Concerns over the cost and safety of 'Seoul Ring')"
https://www.hani.co.[...]
2023-03-22
[48]
뉴스
"하늘공원 건립예정 '서울링' 표절 논란 [뉴스in뉴스] (Plagiarism controversy over 'Seoul Ring' planned for Sky Park [News in News])"
https://www.youtube.[...]
2023-03-22
[49]
뉴스
"FOCUS 건축사의 건축저작권_'서울링' 표절 논란…"건축저작권자 권리 침해 낡은 관행 바뀌어야" (FOCUS Architectural Copyright: 'Seoul Ring' plagiarism controversy... 'Outdated practices infringing on the rights of architectural copyright holders need to change')"
https://www.ancnews.[...]
2023-03-23
[50]
뉴스
모든 창작품이 그렇듯 건축물 역시 저작권은 건축가에게 있다. (As with all creative works, the copyright of a building belongs to the architect.)
https://www.instagra[...]
2023-03-30
[51]
뉴스
"이른바 Seoul Ring은 '천년의 문'의 표절이 아닌가? (Is the so-called Seoul Ring not a plagiarism of the 'Millennium Gate'?)"
https://www.youtube.[...]
2023-04-04
[52]
뉴스
"서울링 프로젝트 휘감은 4중 장막 (Fourfold veil enveloping the Seoul Ring project)"
https://www.hankooki[...]
2023-04-19
[53]
뉴스
"철학자의 도시, 아니면 (A city of philosophers, or not)"
https://www.joongang[...]
2023-04-26
[54]
뉴스
"공공기관, 서울시가 대놓고 표절 중인 서울링 대관람차! 천년의 문 몰랐던 게 아니라며? 뭐가 문제인지 건축가들이 직접 이야기해봤습니다! [아키리즘 블랙] (Public institution, Seoul City blatantly plagiarizing Seoul Ring Ferris Wheel! Didn't know about Millennium Gate? Architects discuss what's the problem! [Archism Black])"
https://www.youtube.[...]
2023-05-04
[55]
뉴스
"서울링, 노들섬 개발… 한강 정체성과 생태 회복이 중심돼야[건축이 만드는 공간/홍재승] (Seoul Ring, Nodeul Island development... Restoring Han River's identity and ecology should be the focus [Space Created by Architecture / Hong Jae-seung])"
https://www.donga.co[...]
2023-05-19
[56]
뉴스
"표절, 설계공모, 협회 의무가입을 둘러싼 대립: 새건축사협의회의 입장 표명 (Conflict over plagiarism, design competition, and mandatory association membership: Position statement by the New Architects Association)"
https://vmspace.com/[...]
2023-08-01
[57]
뉴스
"부산 카페 표절했다가 철거당한 울산 건물 (Ulsan building demolished for plagiarizing a Busan cafe)"
https://vmspace.com/[...]
2023-10-23
[58]
뉴스
"[세계포럼] 이어령과 굴렁쇠, 서울링"
https://www.segye.co[...]
2023-03-22
[59]
뉴스
"[매경포럼] 서울링 아이디어, 훔친 건가 베낀 건가 ([Maeil Business Forum] Seoul Ring idea, stolen or copied?)"
https://www.mk.co.kr[...]
2023-03-27
[60]
뉴스
"[기고] '서울링'은 원작자 명예를 존중해야 ([Opinion] 'Seoul Ring' must respect the honor of the original creator)"
https://n.news.naver[...]
2023-04-03
[61]
뉴스
"대관람차 '서울링' 민간투자심의위 통과…2027년 완공 목표 (Giant Ferris Wheel 'Seoul Ring' Passes Private Investment Review Committee… Targeting Completion by 2027)"
https://www.asiatoda[...]
2023-09-19
[62]
뉴스
"5800억원 서울시 대관람차(서울링) 민자사헙에 6,7곳 관심 (580 Billion Won Seoul Metropolitan Giant Ferris Wheel (Seoul Ring) Private Investment Project Attracts Interest from 6-7 Entities)"
https://contents.pre[...]
2023-09-20
[63]
뉴스
"서울시 대관람차 및 복합문화시설 조성 민간투자사업 공동사업제안자 공모 (Seoul Metropolitan Giant Ferris Wheel and Complex Cultural Facility Construction Private Investment Project Joint Project Proposal Solicitation)"
https://www.i-sh.co.[...]
2023-09-27
[64]
뉴스
"서울시 대관람차 및 복합문화시설 조성 민간투자사업 공동사업제안자 선정 결과 발표 (Announcement of Selection Results for Joint Project Proposers of Seoul Metropolitan Giant Ferris Wheel and Complex Cultural Facility Construction Private Investment Project)"
https://www.i-sh.co.[...]
2023-11-29
[65]
뉴스
"오세훈 "'서울링' 부지 월드컵공원 인근까지 제안 받는다" (Oh Se-hoon: 'Open to Proposals for 'Seoul Ring' Site Up to the Vicinity of World Cup Park)"
https://www.citytime[...]
2023-09-01
[66]
뉴스
"이보다 쉬운 설명은 없다 '서울링' #오세훈 #트윈휠 #BC값 #예산 #서울링 (There's No Simpler Explanation: 'Seoul Ring' #OhSeHoon #TwinWheel #BCValue #Budget #SeoulRing)"
https://www.youtube.[...]
2023-12-26
[67]
웹인용
"[세상사는 이야기] `천년의 문` 비가(悲歌)"
https://www.mk.co.kr[...]
2023-03-19
[68]
뉴스
평화와 행복, 통일의 길로... "열려라 천년의 문"
한국일보
2000-02-17
[69]
웹인용
Atelier KOMA
https://komalee.com/
2023-03-19
[70]
웹인용
"[주택저널 7월] 건축이야기 : 오퍼스건축 조성기•우대성•김형종의 판교주택"
https://blog.naver.c[...]
2023-03-19
[71]
웹인용
상암동 평화의공원 세워질 천년의 문 당선작 발표
https://news.kbs.co.[...]
2023-03-22
[72]
웹인용
천년의 문. 서울의 고리 컴퓨터로 시연[이선재]
http://imnews.imbc.c[...]
2023-03-19
[73]
웹인용
월드컵 조형물 '천년의 문'
https://news.kbs.co.[...]
2023-03-22
[74]
웹인용
오세훈 아이디어 담았다는 서울링...때아닌 표절 논란, 왜 [핫이슈]
https://www.mk.co.kr[...]
2023-03-19
[75]
웹인용
seoulring.com
https://www.seoulrin[...]
2023-03-19
[76]
웹인용
‘천년의 문’건립사업 백지화
https://m.khan.co.kr[...]
2023-03-19
[77]
웹인용
'천년의 문' 건립취소로 '허탈'
https://www.chosun.c[...]
2023-04-04
[78]
웹인용
‘서울링’ 이전에 ‘천년의문’ 있었다
https://www.seoul.co[...]
2023-03-20
[79]
웹인용
"[기고] ‘서울링’은 원작자 명예를 존중해야"
https://n.news.naver[...]
2023-04-02
[80]
웹인용
권익위, 문화부는 ‘천년의 문’ 설계자에게 용역비 지급해야
https://www.acrc.go.[...]
2008-04-01
[81]
웹인용
서울건축문화제 2019
https://www.c3korea.[...]
2023-03-22
[82]
웹인용
서울특별시 서울소식
https://www.seoul.go[...]
2023-05-26
[83]
웹인용
"[보도자료]서울시의 '서울링' 건립 계획에 대한 우려"
http://kai2002.org/i[...]
2023-03-15
[84]
웹인용
'[해명자료] 서울시 추진 "서울링" 표절 논란 …"20여년 전 기획·무산된 "천년의 문"과 유사"'
https://mediahub.seo[...]
2023-05-26
[85]
웹인용
오세훈 아이디어 담았다는 서울링...때아닌 표절 논란, 왜 [핫이슈]
https://www.mk.co.kr[...]
2023-05-26
[86]
웹인용
발표 일주일 만에… 표절 시비 휘말린 ‘서울링’
https://www.chosun.c[...]
2023-05-26
[87]
웹인용
FOCUS 건축사의 건축저작권_‘서울링’ 표절 논란…“건축저작권자 권리 침해 낡은 관행 바뀌어야”
http://www.ancnews.k[...]
2023-05-26
[88]
웹인용
‘서울링’에서 ‘그레이트 한강’까지, 서울이 들썩인다
https://www.c3korea.[...]
2023-05-26
[89]
웹인용
독보적 랜드마크? ‘서울링’ 비용과 안전을 우려한다
https://www.hani.co.[...]
2023-05-26
[90]
뉴스
하늘공원 건립예정 ‘서울링’ 표절 논란 [뉴스in뉴스]
https://www.youtube.[...]
2023-03-22
[91]
웹인용
로그인 • Instagram
https://www.instagra[...]
2023-05-26
[92]
웹인용
65) 이른바 Seoul Ring은 '천년의 문'의 표절이 아닌가?
https://www.youtube.[...]
2023-04-04
[93]
웹인용
"[중앙시평] 철학자의 도시, 아니면"
https://www.joongang[...]
2023-05-26
[94]
웹인용
공공기관, 서울시가 대놓고 표절 중인 서울링 대관람차! 천년의 문 몰랐던 게 아니라며? 뭐가 문제인지 건축가들이 직접 이야기해봤습니다! [아키리즘 블랙]
https://www.youtube.[...]
2023-05-04
[95]
웹인용
서울링, 노들섬 개발… 한강 정체성과 생태 회복이 중심돼야[건축이 만드는 공간/홍재승]
https://www.donga.co[...]
2023-05-26
[96]
웹인용
오세훈, 서울링 표절 논란 직접 해명…“천년의문 설계 자문”
https://www.donga.co[...]
2023-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